RFC3986(URI Generic Syntax)에 따르면 URI에서의 대소문자 구분은 아래와 같다.
- 스키마와 호스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case-insensitive)
- 스키마와 호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대소문자를 구분함(case-sensitive)
문서는 스키마와 호스트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그렇기 때문에 소문자로 정규화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반면, 스키마와 호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는 점만 설명하고 있고, 관련하여 제약사항이나 권고사항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개발을 하다보면 Camel Case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소문자로 써야 한다고 했던것같은데 하는 생각에 다시 한번 찾아봤는데 소문자를 써야 한다는 글들이 많기는 했지만 명확한 근거는 찾지 못했다. 관련해서 공식 문서가 있는지 궁금하다.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DATA와 CDATA (0) | 2022.03.14 |
---|---|
맵과 모델,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0) | 2022.03.14 |
유스케이스 (Use Case) (0) | 2022.03.14 |
Quartz Scheduler (0) | 2022.03.14 |
cron (0) | 2022.03.14 |